[건강정보] 지우병원 권순만 신경외과 병원장

경기도에 거주하는 김모(52·여)씨는 며칠 전 애완견과 함께 산책을 하던 중 목줄이 발목에 걸리는 바람에 엉덩방아를 찧었다.

당일에는 많이 아프지 않았으나 며칠이 지난 후 허리 통증이 느껴지고 수면시 방해가 될 정도로 허리 쪽의 통증이 점점 더 심해져만 갔다. 시간이 지나도 허리 통증은 호전이 없었고 허리를 곧게 펴기가 어려워 걱정스러운 마음에 결국 신경외과병원에 내원 후 X-ray, CT, MRI 촬영 후 영상정밀검사를 진행했다.

X-ray(방사선검사)는 현재 척추뼈의 상태와 퇴행성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CT(전산화단층촬영)는 척추뼈의 전위된 정도, 척추 관절 사이의 분리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RI(자기공명촬영)는 척추신경이 눌린 부위가 있는지 척추관의 협착 정도 등 신경학적인 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김씨는 종합적인 판독 결과 ‘척추분리증’이란 진단명을 받았다.

척추분리증이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척추뼈에 금이 가거나 연결고리가 끊어지며 결손이 생긴 것을 말하며 주로 요추 4번과 5번 사이에 발병률이 많은 편이다.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도 뼈의 강도가 약해지는 골다공증으로 인해 척추분리증 환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주요 통증 양상은 허리를 뒤로 젖힐 때, 오래 서있거나 많이 걸을 때 통증이 허리부터 엉치까지 느껴진다. 계속해서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이 간헐적으로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다는 생각으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하지만 척추분리증을 계속해서 방치하게 되면 척추뼈가 서로 어긋나게 되는 척추전방전위증 질환으로 발전돼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만약 김씨처럼 낙상을 경험 후 어느정도 통증이 사라진 후에도 허리를 바로 펼 수 없거나 불편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허리 주변 근육과 인대에도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에 빠른 시일에 병원에 내원 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척추분리증의 치료는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 단계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보조기착용 등의 보존적 치료를 우선 적으로 시행한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 이후에도 증상 호전이 없거나 치료시기를 놓쳐 극심한 통증과 마비증상, 감각장애 등 척추전방전위증까지 동반되는 경우에는 척추유합술 및 고정술을 통해 척추를 고정해 주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김씨는 증상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우선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진행했다.

척추분리증은 선천적 골화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과한 운동이나 낙상 등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해서 나타나거나 장시간 좋지 못한 자세를 반복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뼈의 강도가 약해진 골다공증 환자와 노년층은 척추분리증, 척추압박골절 등의 부상으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에 지금처럼 겨울철 빙판길 낙상사고에 각별한 주위가 필요하다.

척추분리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과하게 사용하는 움직임을 피하고 알맞은 강도로 허리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과 스트레칭과 휴식을 통해 허리에 가는 부담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 척추질환은 방치한다고 쉽게 개선되는 부위가 아닌 만큼 허리 통증, 다리 저림 증상 등 평소와 다른 통증이 반복적으로 느껴진다면 방치하지 말고 빠른 시일에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길 바란다.

저작권자 © 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