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유재석 한국라이온스 연수원 교수

고개를 숙이면 부딪치는 법이 없다. 조선 초 맹사성에게 고승이 준 가르침이다. 열아홉에 장원 급제해 스무살에 군수에 오른 맹사성은 자만심으로 가득 차 있었고 어느 날 선사를 찾아가 물었다. “스님이 생각하기에 이 고을을 다스리는 사람으로서 내가 최고로 삼아야 할 좌우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오?” 그러자 스님은 “그건 어렵지 않습니다. 나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일을 많이 베푸시면 됩니다”라고 했다. 맹사성은 그 말에 “그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이치인데 내게 해 줄 말이 고작 그것뿐이오?”라고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나려 했다. 그러자 스님은 차나 한잔 하고 가라고 붙잡았다.

그런데 맹사성에게 차를 따르는 스님이 맹사성의 잔에 찻물이 넘치는 대도 차를 계속 따르는 것이었다. 이게 무슨 짓이냐고 소리치는 맹사성을 향해 스님은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알면서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어찌 모르십니까?”라고 답했다. 스님의 한마디에 부끄러워진 맹사성은 황급히 일어나 나가려다 문지방에 머리를 부딪쳤다. 그러자 스님을 빙그레 웃으면서 “고개를 숙이면 부딪치는 법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맹사성은 젊을 때 교만과 자만심으로 저지른 일을 교훈으로 삼아 후일 자신을 낮추고 과욕하지 않는 삶으로 세종 때 명재상으로 역사에 남을 수 있었다.

사람들은 틀린 말보다는 옳은 말을 듣기를 원하고 옳은 말보다는 진심이 들어간 말을 더 듣기를 원하며 진심이 들어간 말보다는 자신을 낮추고 남을 도와주는 행동을 원한다. 지혜롭지 못한 사람은 “나는 그 정도는 다 안다”에서 시작하므로 새로운 것이 들어갈 틈이 없지만 지혜로운 사람은 “나는 아직 모른다”라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 이야기에 귀 기울이니 더 큰 지혜가 쌓인다.

필자는 주례를 설 때마다 신랑 신부에게 당부하는 주례사에서 부부간에 존경까지 못해도 자라온 과정이 다르기에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며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하며 특히 상대를 절대 이기려고 하지 말아야 하며 지는 게 이기는 것이요 칭찬과 사과는 상대방 보다 먼저 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고 한다. 잘생긴 나무는 먼저 베어져 목재로 쓰인다. 진짜 고수는 뛰어난 체하지 않는다. 우리사회에 많은 명언이 있지만 모 대기업오너의 덕목이 경청이라는 사실은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어서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고 경청을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혜를 얻어서 결국 조직과 자신의 발전을 이루어 초 일류기업을 이루어 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생의 목적은 행복에 있으며, 행복한 가 그렇지 못한 가는 결국 자신에게 달려있다고 했다.
나이 들면서 요즈음 인생의 목적이라는 행복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생각해보게 되는데 행복의 시작도 결국 욕심을 내려놓고 현실에 만족하고 지금 자신의 위치에서 자기 일에 의미를 찾고,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세상만사를 희망적으로 생각하는 게 행복이라고 생각된다.

결국 우리인생의 행복도 그 누가 만들어 주는 게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만들어야 하며 행복은 마음속에서부터 찾아야 하듯이 조선기 초에 고승이 맹사성 에게 주었던 “머리를 숙이면 부딪치는 법이 없습니다”라는 교훈처럼 오늘날 복잡 다대하고 무한경쟁의 사회에서 지혜롭게 살아가는 비결은 자신을 낮추고 귀는 열고 입은 다물 줄 아는 경청의 자세로 살아가는 것이며 이러한 자세로 살면 보다 성숙되고 행복한 삶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몇 해 전에 타계한 어느 유명 코미디언이 “나를 낮추면 오래 간다” 말했듯이 우리 인생도 자신을 낮추면 오래가고 서로 부딪칠 일이 없을 것이며 과욕을 부리지 않고 주어진 현실에 만족하고 자신의 능력을 아끼고 사랑 할 줄 아는 사람이 결국 인생에서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광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